티스토리 뷰
집을 구할 때 전세냐, 월세냐에 따라서
금액이 달라지는데요,
오늘은 전세나 월세로 바꿀 때 얼마를 내야 하는지,
전월세 전환 계산 방법을 알아볼게요.
전월세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기준이 되는
전월세전환율을 알아야 하는데요,
전세나 월세로 바꿀 때 적용되는 비율로,
비율이 높을수록
전세에 비해 월세 부담이 높다는 의미입니다.
전월세전환율 계산 방법
(월세×12개월/전세-월세보증금)×100
자료출처: 한국감정원
참고로 한국감정원에서 발표한
2017년 1월 기준,
전국의 전월세전환율 평균은 6.4%입니다.
전세를 월세로 계산할 때는
(보증금(월세 전환금액)×전환율)/12개월
반대로 월세를 전세로 계산할 때는
(월세×12개월)/전환율
전환율을 6%로 가정하고, 전세 5,000만원인 집을
보증금 1,000만원에 나머지 4,000만원을
월세로 전환할 경우
(4,000만원×6%)/12개월=200,000원
월세가 20만원으로 계산됩니다.
간편하게 전월세 전환 계산기를
이용해볼 텐데요,
전월세 전환 계산기
먼저 부동산 114 사이트에 접속한 다음,
상단의 더보기 메뉴 중에서
"재테크솔루션"으로 이동하면 됩니다.
그런 다음, 무료계산기 중에서
하단에 있는 "전월세 전환 계산기"를
선택하면 됩니다.
전세를 월세로, 월세를 전세로
전환할 수 있는데요,
빈칸에 전세금이나 월세, 보증금 등을
기입한 다음, "계산"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참고로 연이자율 12%로 계산한
계산식입니다.
전세 5,000만원에 보증금 1,000만원일 경우,
나머지 4,000만원을 월세로 전환하면
40만원으로 계산됩니다.
보증금 2,000만원에 월세 50만원일 경우,
전세 7,000만원으로 계산됩니다.
전국 전월세전환율 평균이 6.4%인 걸 감안하면
금액이 높게 나오는 편이네요.
지금까지 전월세 전환 계산 방법을
알아보았는데요,
지역마다 전환율이 다르니,
부동산 시세를 참고해서 높은지 낮으지
비교하시면 될 듯합니다.
'짠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잘못 보낸 착오송금 해결방법 (0) | 2017.03.27 |
---|---|
전기요금계산기 이용 방법 (0) | 2017.03.24 |
KB부동산시세조회 확인방법 (0) | 2017.03.09 |
주휴수당 계산기 및 지급조건 (0) | 2017.03.07 |
부동산 복비 계산기 사용 방법 (0) | 2017.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