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설날이 다가오고 있어요.

친척을 만나면 호칭 때문에 고민하다가

얼버무릴 때가 많은데요,


명절에 헤매지 않도록 가족관계에 대한

촌수와 친족 호칭을 알아볼게요.





<촌수와 친족 호칭표>

출처: 네이버 학생백과


나를 중심으로 한

"촌수와 친족 호칭표"예요.


촌수에서 촌(寸)은 마디를 뜻하는 말로

친족 간의 멀고 가까움을 나타내는

숫자 체계라고 해요.


촌수는 3촌에서 8촌까지 국한되며,

부모와 할아버지 등 직계가족을 기준으로

계산하고 있어요.





예를 들면 부모와 자식 사이는 1촌,

형제와 자매 사이는 2촌,

나를 기준으로 아버지(1)의 형제(2)는

3(1+2)촌이 되겠죠.


촌수는 부모와 자식 간의 연결고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짝수는 나와 같은 항렬이고,

홀수는 나의 위나 아래 항렬을 뜻한다고 해요.


지금부터 부모님의 친가와 외가,

처갓집과 시댁의 가족 호칭을 표와 함께

살펴보도록 할게요.



<아버지의 친가>

출처: 여성가족부


친족 호칭은

조, 숙, 형, 질, 손 등으로 세대를 표시하고,

종, 재종, 삼종 등으로 친한 정도를

나타낸다고 해요.


는 할아버지와 같은 항렬을 뜻하고, 은 부모,

은 나, 은 나의 자녀,

은 나의 손자와 같은 항렬이에요.


아버지의 형과 부인은

큰아버지(백부), 큰어머니(백모),

아버지의 남동생과 부인은

작은아버지(숙부), 작은어머니(숙모),

사촌은 종형제, 내종형제 등으로 불러요.


이렇게 가족의 촌수와 친족 호칭을 알면

어떤 관계인지 바로 알 수 있겠죠.



<아버지의 외가>

출처: 여성가족부


아버지의 외가, 친할머니의 가족이에요.



<어머니의 친가>

출처: 여성가족부


어머니의 친가, 어머니의 가족이에요.


어머니의 남자 형제와 부인은

외삼촌(외숙), 외숙모,

어머니의 여자 자매와 남편은

이모, 이모부라 불러요.


결혼을 하면 새로운 가족관계가 만들어지는데요,

실수하지 않도록 처갓집과 시댁의

친족 호칭을 알아볼게요.



<처갓집 가족호칭>

출처: 여성가족부


아내의 오빠는 손윗사람이면 형님, 아래면 처남,

아내의 언니는 처형, 여동생은 처제,

처형의 남편 나이가 자신보다 많으면 형님,

어리면 동서라고 불러요.



<시댁 가족호칭>

출처: 여성가족부


시댁은 아내의 나이와 상관없이

남편의 위치에서 가족의 호칭을 정해요.


나보가 나이가 어려도 손윗동서는 형님,

많아도 손아래는 동서라고 불러요.



그리고 네이버에서도

간단하게 검색할 수 있으니까

급할 때 사용해 보세요.


"가족호칭"이나 "친족호칭"으로 검색하면

촌수와 호칭을 확인할 수 있어요.


가족관계에 대한 촌수와 친족 호칭에

대해서 알아보았어요.


미리 배워서 다가올 설날에 활용해 보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