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설날이 다가오고 있어요.
친척을 만나면 호칭 때문에 고민하다가
얼버무릴 때가 많은데요,
명절에 헤매지 않도록 가족관계에 대한
촌수와 친족 호칭을 알아볼게요.
<촌수와 친족 호칭표>
▲출처: 네이버 학생백과
나를 중심으로 한
"촌수와 친족 호칭표"예요.
촌수에서 촌(寸)은 마디를 뜻하는 말로
친족 간의 멀고 가까움을 나타내는
숫자 체계라고 해요.
촌수는 3촌에서 8촌까지 국한되며,
부모와 할아버지 등 직계가족을 기준으로
계산하고 있어요.
예를 들면 부모와 자식 사이는 1촌,
형제와 자매 사이는 2촌,
나를 기준으로 아버지(1)의 형제(2)는
3(1+2)촌이 되겠죠.
촌수는 부모와 자식 간의 연결고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짝수는 나와 같은 항렬이고,
홀수는 나의 위나 아래 항렬을 뜻한다고 해요.
지금부터 부모님의 친가와 외가,
처갓집과 시댁의 가족 호칭을 표와 함께
살펴보도록 할게요.
<아버지의 친가>
▲출처: 여성가족부
친족 호칭은
조, 숙, 형, 질, 손 등으로 세대를 표시하고,
종, 재종, 삼종 등으로 친한 정도를
나타낸다고 해요.
조는 할아버지와 같은 항렬을 뜻하고, 숙은 부모,
형은 나, 질은 나의 자녀,
손은 나의 손자와 같은 항렬이에요.
아버지의 형과 부인은
큰아버지(백부), 큰어머니(백모),
아버지의 남동생과 부인은
작은아버지(숙부), 작은어머니(숙모),
사촌은 종형제, 내종형제 등으로 불러요.
이렇게 가족의 촌수와 친족 호칭을 알면
어떤 관계인지 바로 알 수 있겠죠.
<아버지의 외가>
▲출처: 여성가족부
아버지의 외가, 친할머니의 가족이에요.
<어머니의 친가>
▲출처: 여성가족부
어머니의 친가, 어머니의 가족이에요.
어머니의 남자 형제와 부인은
외삼촌(외숙), 외숙모,
어머니의 여자 자매와 남편은
이모, 이모부라 불러요.
결혼을 하면 새로운 가족관계가 만들어지는데요,
실수하지 않도록 처갓집과 시댁의
친족 호칭을 알아볼게요.
<처갓집 가족호칭>
▲출처: 여성가족부
아내의 오빠는 손윗사람이면 형님, 아래면 처남,
아내의 언니는 처형, 여동생은 처제,
처형의 남편 나이가 자신보다 많으면 형님,
어리면 동서라고 불러요.
<시댁 가족호칭>
▲출처: 여성가족부
시댁은 아내의 나이와 상관없이
남편의 위치에서 가족의 호칭을 정해요.
나보가 나이가 어려도 손윗동서는 형님,
많아도 손아래는 동서라고 불러요.
그리고 네이버에서도
간단하게 검색할 수 있으니까
급할 때 사용해 보세요.
"가족호칭"이나 "친족호칭"으로 검색하면
촌수와 호칭을 확인할 수 있어요.
가족관계에 대한 촌수와 친족 호칭에
대해서 알아보았어요.
미리 배워서 다가올 설날에 활용해 보세요.
'일상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의료보험료 계산하는 방법 알아보기 (0) | 2017.01.12 |
---|---|
2017년 손없는날 정유년 결혼 이사 길일 알아보기 (0) | 2017.01.12 |
전국 코스트코 휴무일과 영업시간 알아보기 (0) | 2017.01.03 |
전국 휘발유 가격과 싼 주유소 찾기 (0) | 2017.01.02 |
대표적인 식품첨가물과 유해성 알아보기 (0) | 2016.12.29 |